필자는 92년부터 프로그램을 하기 시작하였고, 96년부터는 프로그래밍이 나의 밥줄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어셈블리어부터 Turbo C, Borland C, 각종 Firmware(하드웨어 프로그램을 말하며 다시는 하고 싶지 않다), SDK 프로그래밍(Boralnd C, Visual C), MFC(Visual C)프로그래밍 등 개발 툴을 바꾸면서 프로그램을 하였다. 근 9년동안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정말 시행착오도 많았고 어려움도 많았다. 이러는 동안 미약하나마 프로그램을 하는 여러분에게 노하우라고 하긴 그렇고 느낀 점들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1. 프로그래밍은 공부가 아니다. 프로그램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중도 포기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 공부처럼 프로그래밍 공부(약간 어패가 있나?)를 하는 것..
1.불안을 극복하라. 빨리뛰는 맥박과 소용돌이치는 뱃속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긴장을 이완시키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숨을 깊이 느리게 들이마시고 내쉬는 간단한 호흡법을 사용하라. 어떤 만남이나 모임에서 급한 불안을 경험 할때 잠시 그대로 머물 러 있는다면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다. 만일 불편함에 승복하여 5분 만에 그 자리로부터 도망친다면 당신은 스스로에게 실패를 약속 하는 것이다. 그 자리에 머무르라. 2.땀나게 뛰어라. 성공처럼 성공을 부추기는 것은 없다.성공할 가능성이 높고 덜 위 험적인 만남이나 대화의 기회를 만들어 거기에서부터 시작한다. 라디오와 청취자가 전화 프로그램에 전화하여 말할 기회를 만든다. 3.대면해서 말하라. 그리고 나서 대면한 상태에서의 사소한 대화 기술에 도전하라. 전 철안의 옆사람..
이 질문은 당신이 하루에도 수십 번 듣는 말이다. “요즘 어떠십니까?” 보통 이런 질문을 받으면 긍정형·평범형·부정형, 세 가지 형태로 답을 한다. 첫째, 부정형. 이들은 질문을 받으면 입버릇처럼 이렇게 말한다. “별로예요.” “피곤해요.” “죽을 지경입니다.” “묻지 마세요.” “죽겠습니다.” 둘째, 평범형. 이들은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저 그렇지요.” “대충 돌아갑니다.” “먹고는 살지요.” “늘 똑같죠.” “거기서 거깁니다.” 셋째, 긍정형. 이들이 하는 말에는 열정과 힘이 가득 실려 있다. “죽여줍니다.” “좋습니다.” “대단합니다.” “환상적입니다.” “끝내줍니다.” “아주 잘 돌아갑니다.” 이 세 가지 유형 중 당신은 어떤 유형이 맘에 드는가? 성공인 그룹과 실패인 그룹은 말하는 습관부터 다..
#무지개 원리1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이 겪는 불행의 원인을 외부환경에서 찾는다. 우리의 행복과 불행을 결정하는 것은 외부환경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우리들의 태도인 것이다. 부정적인 삶의 태도, '여지'라는 명목으로 항상 부정적인 결과만을 생각하는 태도, "나는 열심히 했는데 세상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다"는 염세주의적이고 비극적이며 회의적인 태도가 문제다. 사람들이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것 중에 40%는 지나간 과거에 대한 것이며 50%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의 것이며 10%만이 현재를 위한 것이라는 설문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무지개 원리2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우리 각자는 스스로의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중요한 '샘' 하나씩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샘'이란 삶의 비밀,..
1. 좋은 인상을 유지하려면 첫인상이 아무리 좋았더라도 부정적인 정보를 접하면 쉽게 나쁜 쪽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열 번 잘하다가도 한번 잘못하면 나쁜 이미지로 낙인찍히게 됨을 잊지 말아야 한다. 2. 좋아하면 판단할 필요가 없다 사람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을 선택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설득을 하고 싶다면 우선 상대방으로부터 호감을 사고(에토스), 감정에 호소한 다음(파토스), 필요성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고(로고스), 마지막으로 상대방이 마음을 바꾸지 않도록 다시 에토스를 이용하는 순환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3. 신은 마음을, 사람은 겉모습을 먼저 본다 옷차림은 우리를 바라보는 사람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우리자신의 태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끄는 사..
보다 나은 인생, 더 많은 친구, 보다 큰 성공 그리고 한층 더 행복한 생활'을 보장하는 열쇠는 대인관계의 기교와 대화의 법칙에 있다. **카네기 이후 최고의 대인관계 전문가로써 1,000회이상 강연한 자료이다. 1. 인간의본성을 이해하라.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인 존재이고, 타인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몇 만 배는 더 관심이 많은 존재이며, 자기 자신이 뭔가 중요하고 필요한 사람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존재이다.' 즉, 사람은 누구나 이기적인 존재이고, 타인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더 관심이 많을 수 밖에 없으며, 늘 누군가로부터 존경과 인정을 받고 싶어한다. 2. 대화를 시작할 때 상대방이 가장 듣고 싶어하는 주제를 선택하라. 가. 상대방 자신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라. 내 사전에서 '내가, 나를, 나의것..
사람을 움직이는 3원칙 1. 다른 사람을 비난하지 말자.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것은 그 누구에게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이다. 비난하는 사람은 감정이 격앙되어 이성을 잃기 쉽고, 비난받는 사람은 곧 방어태세를 갖추고 어떻게 해서든지 자신을 정당화하려고 든다. 또한 비난받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자존심이 상하게 되어 반항심이 생겨나게 되므로 서로의 관계가 악화되기 십상이다. 2. 원하는 것을 충족시켜 준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비결은 이 세상에 단 한 가지 방법밖에는 없다. 이 방법은 그 사람 스스로 움직이고 싶다는 기분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거듭말하건대 이 방법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20세기 위대한 심리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박사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두 가지 동기로 압축시킬 수 있다고 했다...
- Total
- Today
- Yesterday